하와이 조개, 돌 5월에 하와이로 여행을 가는데요 하와이 해변에 있는 모래나 조개나 돌
해외여행 몽골 5박 패키지 80만원대면 적당한가요? 6인기준 1인당고비사막 패키지입니다
일본 유학 비자 재신청 성적 안녕하세요 이번에 군대다녀와서 유학 비자를 재신청하려고 하는데 제가 성적이 많이
지마켓 환불 지마켓에서 해외배송으로 에어팟 프로2 새상품을 해외배송으로 주문했는데 중고 에어팟 프로1이
옛날 재밌게 했던 로블록스 게임 제목을 찾아주세요 일단 로봇펫이고그리고 스테이지마다 보스가 있고그 보스를 죽이고 코인을 모으면로켓을타고 우주로
해외여행가는데 skt 유심교체 해외여행가서 해외유심을 쓸건데 유심교체해야하나요.

영어 시험문제에서 궁금한 점

2025. 4. 30. 오전 9:02:03

영어 시험문제에서 궁금한 점

안녕하세요! 과학 시험 보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리고 영어 지문 어법 문제 때문에 궁금증이 생기셨군요! 수능특강 지문에서 나온 문장이었다니 더 신경 쓰이겠어요.

말씀하신 문장은 "All these simple checks might be frustrating and delaying the start of the task." 인데, 여기서 delaying이 틀렸다고 나왔고, 이유가 궁금하신 거군요. 챗GPT가 "형평성 때문"이라고 했다는 건 아마 **병렬 구조(parallel structure)**가 맞지 않아서 그렇다는 걸 좀 어색하게 표현한 것 같아요. 네, 병렬 구조가 깨져서 틀린 것이 맞습니다!

어떤 부분이 병렬 구조가 안 맞는지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이 문장에서 핵심은 might be 뒤에 연결되는 두 부분, 즉 frustrating과 delaying이 and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에요. and와 같은 등위 접속사로 연결될 때는 앞뒤의 문법적인 형태나 기능이 같아야 해요. 이걸 병렬 구조라고 부른답니다.

여기서 문제는 frustrating과 delaying이 might be 뒤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에요.

frustrating: 여기서는 frustrating이 형용사처럼 쓰여서 주어인 All these simple checks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하고 있어요. "그 단순한 확인 작업들이 짜증스럽다" (주어의 성질/상태 설명) 라는 의미로 사용된 거죠. (be + 형용사)

delaying: 여기서는 delaying이 be와 함께 쓰여서 "be ~ing" 형태, 즉 현재 진행형(또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might와 함께 쓰였으니 '진행 중일지도 모른다'는 의미)으로 쓰였어요. "시작을 지연시키고 있을지도 모른다" (주어가 현재 진행 중인 동작 설명) 라는 의미로 사용된 거죠. (might be + 동사원형-ing)

보시면, 앞의 frustrating은 be 뒤에서 주어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 역할을 하고 있고, 뒤의 delaying은 be 뒤에서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진행형) 역할을 하고 있어요. 이렇게 형용사와 동사 형태가 and로 연결되면서 병렬 구조가 깨진 거예요.

그렇다면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병렬 구조를 맞추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개 다 형용사로 만들기:

"All these simple checks might be frustrating and time-consuming." (짜증스럽고 시간을 잡아먹는) - 이렇게 delaying 대신 비슷한 의미의 형용사 time-consuming 등을 써서 두 개 다 형용사로 만들어 줄 수 있어요. 또는 delaying을 명사 형태인 a delay나 a cause of delay 등으로 바꿔서 might be frustrating and a cause of delay 처럼 만들 수도 있지만 원래 문장 구조에서는 어색할 수 있어요.

두 개 다 동사 형태로 만들기:

"All these simple checks might frustrate and delay the start of the task." (확인 작업들이 짜증나게 하고 지연시킬지도 모른다) - 이렇게 might 뒤에 오는 동사 두 개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이에요.

또는 "All these simple checks might be frustrating and might be delaying the start of the task." 처럼 might be를 반복해서 써서 두 개의 진행형 동사구를 병렬로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원 문장에서는 might be가 한 번만 쓰였으니 앞의 경우가 더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원 지문에서 의도한 정확한 표현은 아마 "might be frustrating and might delay..." 또는 "might frustrate and delay..." 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frustrating은 형용사 역할을 하고 delaying은 동사 역할을 해서 and 뒤에서 병렬 구조가 맞지 않았기 때문에 delaying이 어법상 틀린 것입니다. 챗GPT가 말한 '형평성'은 아마 '균형', '대등함' 같은 병렬 구조의 의미를 다르게 표현한 것으로 보이네요.

어법 문제에서 병렬 구조는 정말 자주 나오니, and, but, or 같은 등위 접속사 뒤에 무엇이 연결되는지 항상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